http://www.sidefx.com/docs/hdk12.1/


sidefx사에서 제공하는 HDK 활용 설명서 





http://www.sidefx.com/docs/hdk12.1/hdk_changes_12_0.html


Houdini 12버전에서 바뀐 부분을 설명하는 페이지





Houdini Development Toolkit Documentation

Side Effects Software Inc. 1997


http://accad.osu.edu/~pete/Houdini/html/cmd/tcl.html


HDK 원리를 설명하는 페이지





Setting up the HDK for Houdini 12 with Visual Studio 2008


http://www.apileofgrains.nl/setting-up-the-hdk-for-houdini-12-with-visual-studio-2008/


HoudiniHDK_VisualStudio_2008.rar


윈도우 및 VS2008에서 HDK를 위한 설정들이 아주 잘 나와있다.




Houdini HDK Setting 동영상

http://vimeo.com/17195536

'Programming > HDK'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C++ 2008 에서 HDK 변수들  (0) 2013.03.16
HDK User Reference  (0) 2013.01.08
Compiling HDK Code  (0) 2012.12.30
Posted by scii
:

배열 기반 리스트의 단점

- 배열의 길이가 초기에 결정되어야 한다. 변경이 불가능하다.

- 삭제의 과정에서 데이터의 이동(복사)가 매우 빈번히 일어난다.


배열 기반 리스트의 장점

- 데이터의 참조가 쉽다. 인덱스 값을 기준으로 어디든 한 번에 참조가 가능하다.


위의 장점 및 단점은 '연결 기반 리스트' 를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이다.


보통 '리스트'라고 하면 '연결 기반 리스트' 를 떠올리고 혹자는 '배열 기반 리스트' 는 불필요하다고까지 말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배열 기반 리스트도 나름의 장점이 있다. 그리고 그 장점은 연결 기반 리스트에는 없는 장점이다.


"배열 기반 리스트도 각종 자료구조의 구현에 중요한 도구이고, 그 자체로도 훌륭한 자료구조이다."





배열 기반 리스트의 활용(주소 값을 저장)


ArrayList.c

ArrayList.h


리스트를 활용하는 것이라 ArrayList.h, ArrayList.c 를 포함시켜야 한다.

이 중에서 헤더파일인 ArrayList.h의 typedef 선언은 다음과 같이 변경해야 한다.

typedef int LData;        (typedef 선언 변경)     →        typedef NameCard * LData;


그리고 NameCard라는 이름의 인식을 위해서 ArrayList.h에 다음 문장도 포함시켜야 한다.

#include "NameCard.h"





Posted by scii
: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Point.h"

#include "ArrayList.h"


int main(void)

{

    List list;

    Point compPos;

    Point * ppos;


    ListInit(&list);


    ppos = (Point*)malloc(sizeof(Point));

    SetPointPos(ppos, 2, 1);

    LInsert(&list, ppos);


    ppos = (Point*)malloc(sizeof(Point));

    SetPointPos(ppos, 2, 2);

    LInsert(&list, ppos);


    ppos = (Point*)malloc(sizeof(Point));

    SetPointPos(ppos, 3, 1);

    LInsert(&list, ppos);


    ppos = (Point*)malloc(sizeof(Point));

    SetPointPos(ppos, 3, 2);

    LInsert(&list, ppos);


    printf("현재 데이터의 수: %d \n", LCount(&list));


    if(LFirst(&list, &ppos))

    {

        ShowPointPos(ppos);


        while(LNext(&list, &ppos))

            ShowPointPos(ppos);

    }

    puts("");


    compPos.xpos = 2;

    compPos.ypos = 0;


    if(LFirst(&list, &ppos))

    {

        if(PointComp(ppos, &compPos) == 1)

        {

            ppos = LRemove(&list);

            free(ppos);

        }


        while(LNext(&list, &ppos))

        {

            if(PointComp(ppos, &compPos) == 1)

            {

                ppos = LRemove(&list);

                free(ppos);

            }

        }

    }


    printf("남은 데이터의 수: %d \n", LCount(&list));


    if(LFirst(&list, &ppos))

    {

        ShowPointPos(ppos);


        while(LNext(&list, &ppos))

            ShowPointPos(ppos);

    }

    puts("");

    

    return 0;

}



main함수를 보면 LRemove 함수가 삭제된 데이터를 반환하도록 디자인한 이유를 알 수 있다. 위의 코드에서 리스트에 저장된 데이터는 'Point 구조체 변수의 주소 값' 이다. 이 주소 값은 Point 구조체를 동적으로 할당한 결과이기 때문에, 반드시 free 함수를 통한 메모리의 해제과정을 거쳐야 한다. 


일반적인 리스트는 메모리의 해제까지 책임을 지지 않는다. 

리스트에 저장된 값이 주소 값인 경우, 그리고 그 주소 값이 동적 할당의 결과인 경우를 구분하여 메모리의 해제를 진행하도록 구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때문에 LRemove 함수처럼 데이터를 소멸하는 함수는, 소멸된 데이터를 반환하도록 정의해야 한다. 그래서 메모리 소멸의 기회를 줄 수 있어야 한다. 


Posted by scii
:

코드 분석

Programming/etc 2012. 12. 25. 01:22 |

'Programming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IDLE Color Theme  (0) 2013.02.01
Visual Studio 디버깅하는 방법  (0) 2013.01.03
Eclipse 단축키  (0) 2012.12.26
Eclipse 테마 설정  (0) 2012.12.26
Eclipse 설치 및 컴파일 설정  (0) 2012.12.26
Posted by scii
:

헤더파일의 정의


어떠한 자료구조이건 간에 '자료구조의 구현''구현된 자료구조의 활용' 은 완전히 구분되도록 ADT를 정의해야 함을 기억해야 한다.


배열을 이용하는 방법.


리스트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typedef 선언이 존재한다.


typedef int LData;                    // 리스트에 int형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선언


typedef ArrayList List;            // List는 배열 기반 리스트이다.

이렇듯 ArrayList에 List라는 이름을 별도로 부여한 것이 당장에는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ArrayList라는 이름에도 typedef 선언을 해 놓으면, 다음과 같이 List에 다른 이름을 부여하는 것만으로도 사용하는 리스트의 종류를 바꿀 수 있다.


typedef LinkedList List;    // List는 연결 기반 리스트이다.

그래서 main 함수에서도 ArrayList가 아닌 List라는 이름을 이용하여 예제를 작성한 것이다.




함수의 정의


curPosition 변수는 저장된 값을 통해서 LFirst 함수와 LNext 함수가 참조해야 할 배열의 위치를 알려주는 변수이다. 그래서 curPosition은 0이 아닌 -1로 초기화한 것이며, 여기에는 아직 데이터의 차모가 진행되지 않았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어떠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건 저장된 데이터의 조회를 위한, LFirst 함수의 호출과 같은 별도의 과정은 거치기 마련이다."



Posted by scii
:

리스트라는 자료구조는 구현방법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순차 리스트                        배열을 기반으로 구현된 리스트

- 연결 리스트                        메모리의 동적할당을 기반으로 구현된 리스트


하지만 이는 리스트의 구현방법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이 둘의 ADT가 동일하다고 해서 문제 될 것은 없다. 물론 각각의 특성적 차이 때문에 ADT에 차이를 두기도 한다. 



리스트의 ADT 정의를 위해서 리스트 자료구조의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특성

1. 리스트 자료구조는 데이터를 나란히 저장한다.

2. 리스트 자료구조는 중복된 데이터의 저장을 막지 않는다.


자료구조 중에서는 중복된 데이터의 저장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리스트는 이를 허용한다. 

즉, 리스트는 수학적으로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집합' 과는 다르다. 그리고 이것이 리스트 ADT를 정의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유일한 요소이다. 



리스트 자료구조의 ADT

void ListInit(List * plist);        //C++의 생성자 역할

- 초기화할 리스트의 주소 값을 인자로 전달.

- 리스트 생성 후 제일 먼저 호루되어야 하는 함수.


void LInsert(List * plist, LData data);

- 리스트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매개변수 data에 전달된 값을 저장한다.


int LFirst(List * plist, LData * pdata);

- 첫 번째 데이터가 pdata가 가리키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 데이터의 참조를 위한 초기화가 진행된다.

- 참조 성공 시 TRUE(1), 실패 시 FALSE(0) 반환.


int LNext(List * plist, LData * pdata);

- 참조된 데이터의 다음 데이터가 pdata가 가리키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 순차적인 참조를 위해서 반복 호출이 가능하다.

- 참조를 새로 시작하려면 먼저 LFirst 함수를 호출해야 한다.

- 참조 성공 시 TRUE(1), 실패 시 FALSE(0) 반환.


LData LRemove(List * plist);

- LFirst 또는 LNext 함수의 마지막 반환 데이터를 삭제한다. 

- 삭제된 데이터는 반환된다.

- 마지막 반환 데이터를 삭제하므로 연이은 반복 호출을 허용하지 않는다.


int LCount(List * plist);

-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수를 반환한다.


사실 위의 정보만 가지고는 리스트의 활용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기는 힘들다 이를 위해서는 헤더파일과 위의 함수들을 호출하는 main함수를 보아야 한다. 

그러나 위의 정보만 가지고도 리스트 자료구조가 제공하는 기능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자료구조는 내부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담게 된다. 그저 데이터만 담는 게 아니라 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참조하기 위한 정보들도 담기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변수들의 초기화가 서너행되어야 하며 이를 담담하는 함수가 ListInit이다.


LFirst 함수를 호출하도록 ADT를 디자인한 이유는 무엇일까?

- 이에 대한 해답은 "LNext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다음에 저장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라는 사살에서 찾을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리스트 내에서 '데이터의 참조위치' 를 기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처음부터 참조를 새롭게 시작하기 위해서는 바로 이 정보를 초기화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목적으로 LFirst 함수의 호출을 요구하는 것이다.






※ 자료구조를 공부하다보니 파이썬의 자료형들을 더욱 깊이 알게 되는구나!!

파이썬의 자료형 중 리스트를 다룰때마다 대충 이런식으로 되어있구나 하고 생각했었는데,

C 자료구조를 공부하니 이런식의 ADT가 되어있다는 것을 확실히 알았다.


Posted by scii
:

컴퓨터 공학에서의 추상 자료형(Abstract Data Type)

ADT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컴퓨터 공학에서 흔히 등장하는 용어이다. 그런데 이 용어는 등장하는 영역에 따라서 의미상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실제 의미에서 조금 확장된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추상 자료형이란?

"구체적인 기능의 완성과정을 언급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능이 무엇인지를 나열한 것" 이것을 추상 자료형 또는 ADT라 한다.


'자료형'의 정의에 '기능' 혹은 '연산'과 관련된 내용을 명시할 수 있다. 따라서 추상 자료형이라 하여 그것에 기능 혹은 연산과 관련된 내용을 명시할 수 없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 추상 자료형을 명시하는데 있어 특정 언어에 의존적이지 않게 별도의 표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지만 꼭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명시해야 할 정보인 '기능'을 충분히 묘사하고 있다면 그 방법도 괜찮다.


# 리스트 자료구조의 학습 순서

1. 리스트 자료구조의 ADT를 정의한다.

2. ADT를 근거로 리스트 자료구조를 활용하는 main 함수를 정의한다.

3. ADT를 근거로 리스트를 구현한다.

Posted by scii
:

하노이 타워 문제는 재귀함수의 힘을 보이는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재귀적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이다.


하노이 타워의 조건

1. 원반은 한 번에 하나씩만 옮길 수 있다.

2. 옮기는 과정에서 작은 원반의 위에 큰 원반이 올려져서는 안된다.


하노이 타워는 원반의 수가 늘어나도 해결방법에는 차이가 없다. 다만 원반의 수가 늘어날수록 일련의 과정을 더 많이 반복해야 할 뿐이다.

그래서 그 일련의 과정을 파악하면 해결할 수 있게된다.


원반 n개를 옮기는 과정

1. 작은 원반 n-1개를 A에서 B로 이동.

2. 큰 원반 1개를 A에서 C로 이동.

3. 작은 원반 n-1개를 B에서 C로 이동.

이렇듯 원반 n개를 이동하는 문제는 원반 n-1개를 이동하는 문제로 세분화되고, 또 원반 n-1개를 이동하는 문제는 원반 n-2개를 이동하는 문제로 세분화된다.

즉, 원반 n개를 이동하는 문제는 결국 원반 1개를 이동하는 매우 쉬운 문제로 세분화되는 것이다.


재귀함수를 정의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생각해야 할 것은 재귀의 탈출조건이다. 

그런데 n개의 원반 이동이 n-1개의 원반 이동으로 세분화되어서 재귀를 구성하게 된 것으므로 탈출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동해야 할 원반의 수가 1개인 경우"



코드를 보면 너무나 간단해서 허탈한 기분이 든다. 이것이 재귀의 힘...


Posted by scii
: